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8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찬반 국정교과서란 국가가 저작권을 가지고 있으며, 국가적 통일성이 필요한 과목을 위주로 개발한 교과서이다. 그런데 왜 요즘에 국정교과서에 찬반논란이 있나 살펴보았다. 지금 가장 많은 논란이 있는 것은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이다. 현재 다양한 출판사에서 한국사 교과서가 나오고 있는데 그것을 모두 없애고 국가에서 단일 교과서를 만든다고 하는 것이 바로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이다. 국정화에 찬성하는 쪽의 의견은 각각 다른 출판사에서 나오는 교과서로 시험 준비를 하면 수험생에게 혼란을 주고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고 학생과 학부모의 입시의 혼란을 줄일 수 있다는 것과 대한민국을 통합시키고 올바른 국가 정체성을 확립시키기 위해 한국사교과서가 국정화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반대쪽의견은 정부의 의도대로 교과서를 편집할 수도 .. 2020. 4. 28.
사회주의의 근대 발전과 민족주의, 군제주의 사회주의와 근대 그리고 발전 한국에서 사회주의 사상은 식민지 자본주의 아래에서 근대적 사회사상으로서 유입되었다. 사회주의는 전통에서 근대로의 이행을 전망하는 탈근대 프로젝트로서 근대 사상의 조류 가운데 하나였다. 한국 근대사회주의자들은 부르주아민주주의 혁명의 근대적 과제를 혁명의 과제로 제시했고, 이는 대중운동의 방침에서도 구체화되었다. 따라서 한국 근현대 사회주의는 봉건적 유산만이 아니라 자본주의적 근대도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이중의 부담을 안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와 탈근대의 과제를 전망하는 이데올로기였다. 특히 자본주의 근대가 식민지 근대로 왜곡된 조선에서 사회주의는 근대와 자본주의를 지양하기 위해 근대를 거쳐야 하는 모순에 부딪쳐 있었다. 곧 중세 봉건제에서 부르주아혁명, 자본주의를 경험하지 않았기.. 2020. 4. 21.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사회주의 운동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사회주의 운동 한국 근현대에 들어 사회주의 이념이 수용되고 확산되는 과정은 아시아적 '한국적 사회주의'가 구체화되고 토착화되는 과정이었다. 이는 동시에 사회주의의 보편적 이상이 현실과 대립하거나 결합하면서 왜곡되는 과정이었다. 여기에는 물론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국제적으로 코민테른ㆍ소련과의 수직적 관계, 국내적으로 빈약한 자본주의 물적 조건과 프롤레타리아 기반, 풍부한 운동경험과 실천의 부재, 그리고 식민지 상황에 따른 광범한 민족주의 토양 등이 한국의 사회주의 지형을 주조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주객관적인 다양한 조건을 반영하여 한국의 사회주의는 현실에 대한 체제의 대안으로 기능하기보다 저항세력의 이데올로기를 담당하는 '이념형 사회주의'에 가까웠다. 그러.. 2020. 4. 20.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의 한계 사회주의 운동 연구사 정리 지금까지 일제시기 사회주의에 관해 알아보았다. 근현대 사회주의 운동에 관한 연구사 논문을 간단히 정리해 볼 것이다. 먼저 기존 연구의 입장을 간단히 살펴보고,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근현대의 사회주의운동을 사회주의의 수용과 한국적인 전통을 결부시켜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근대적인 사상으로서 유입된 사회주의를 살펴보고 민족주의, 국제주의와 결부시켜 보는 과정을 통해 사회주의가 한국 사회라는 특수성 위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기존 연구의 입장과 그 한계 한국 근현대의 사회주의ㆍ사회주의운동에 대해서는 1980년대 들어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들 연구는 다양한 관점이 반영되었지만, 그동안 민족주의운동의 그늘에 가려있던 사회주의운동의 흐.. 2020.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