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cience31

조선공산당 재건운동과 혁명적 대중조직 운동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 1927년부터 1929년 원산총파업․광주학생사건에 이르는 시기인바 일시적이나마 민 족통일전선인 신간회의 지도하에 최후의 합법적 사회운동이 일어난 시기이다. 1)조선공산당의 해산과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의 시작 4차 조선공산당은 우경화되는 신간회에 반대하여 신간회 내에서 노동헤게모니를 관철할 것을 공식화하고, 신간회 각 지회에 플랙션을 설치하여 당 정책 실현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1928년 10월 초까지 검거자가 속출하여 결국 붕괴되고 만다. 하지만 29년의 원산총파업, 30년의 광주학생운동의 지도와 전개에 3차, 4차 조선공산당 시기에 결집되었던 조직적 역량이 영향을 미쳤다. 사회주의자들은 계속되는 탄압을 이겨내기 위해 당 재건의 기초로서의 대중역량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혁명적 대.. 2020. 4. 14.
조선공산당의 활동과 신간회의 결성 1) 조선공산당의 창당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이 해체된 이후 코민테른은 1922년 12월 블라디보스토크에 코르뷰로를 설치하고 코르뷰로는 1923년 5월 국내에 ‘당창건준비기관’으로 코르뷰로 국내부를 조직하였다. 코민테른은 상해파의 이동휘가 원동부의 대표인 보이친스키와의 의견대립으로 코르뷰로를 탈퇴하자 1924년 4월 코르뷰로를 해체하고 오르그뷰로를 설립한다. 한편 1924년 5월 국내 사회주의 분파들은 통일적인 당창건을 위하여 오르그뷰로와는 별도로 국내 조직국(13인회)를 창립하였다. ‘13인회’에는 서울파를 비롯하여 북풍파, 화요파, 상해파, 조선노동당 등 5개 분파의 대표자 13명이 참여하였다. 그러나 화요파는 통일적 당 창건을 위한 13인회의 결정을 무시하고 오르그뷰로의 권위를 어느 정도 .. 2020. 4. 13.
일제시대 사회주의 분파의 형성 1)분파문제에 대한 인식 ‘화요-이르쿠츠크파’의 조봉암, 조훈, 남만춘은 이 시기 분파투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조선공산주의 운동의 전 역사는 여러 공산주의 그루빠들의 끊임없는 분파투쟁의 역사이며, 4개의 당 중앙위원회(두개의 이르쿠츠파와 두 개의 상해파) 그리고 조선공산주의 조직의 통일 및 당 창건을 위한 7개의 조직 뷰로 및 위원회(1. 코민테른 원동비서부 산하 오르그뷰로, 2.통일적인 베르흐네-우진스크 당 대회 소집을 위한 조직위원회, 3.블라디보스톡의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동양부 꼬르뷰로, 4.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동양부 꼬르뷰로 국내부, 5. ‘13인 회의’ 와 이후에는 김사국에 이르기까지 모든 지도자들을 포함한 ‘15인 회의’ 이름 아래 있던 꼬르뷰로 통일적 국내부, 6. 블라디.. 2020. 4. 12.
일제시대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과 조선 공산당 창건 과정 1)사회주의 수용의 배경 ①사회경제적 조건 일본 제국주의가 식민지 한국에서 펼친 초창기 경제정책은 하나의 뚜렷한 목표를 갖고 있었다. 그것은 한국경제를 자국의 재생산체계 순환 속으로 편입시키는 일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식민지 한국에 근대적 토지소유권제도를 확립시켰다. 그러나 근대적 토지소유권 아래에서 종래의 지주제는 온존되고 식민지 통치당국의 보호 하에 더욱 강화되었다. 그로 인해 지주계급이 한국사회 내부의 보수적 지배력을 여전히 장악할 수 있었다. 농민과 도시 소상공업자들은 끊임없이 파산의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한국은 일제 독점자본의 식민지시장으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소경영의 안정화를 보장할 수 있는 조건들을 박탈당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농민 가운데서 빈농층이 70~80%를 점하고 있었다. 그들은 지.. 2020.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