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48 산업안전기사 안전론 오답노트 11 Q 재해발생의 직접원인 중 불안전한 상태가 아닌 것은? 1. 불안전한 인양 2. 부적절한 보호구 3. 결함 있는 기계 설비 4. 불안전한 방호장치 -> 불안전한 인양은 불안전한 행동에 포함된다. 불안전한 행동 : 작업자의 부주의 , 실수, 착오, 안전조치 미이행 등 불안전한 상태 : 기계, 설비 결함, 방호장치 결함, 작업환경 결함 등 Q off j.t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훈련에만 전념할 수 있다. 2. 상호신뢰 및 이해도가 높아진다. 3. 개개인에게 적절한 지도훈련이 가능하다. 4.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 off j.t(직장 외 훈련) 계층 및 직능별로 공통된 교육대상자를 현장 이외의 한 장소에 모아 집합교육을 실시하는 교육형태이다. Q ae형 안전모에 있어 내전압성.. 2022. 1. 13. 산업안전기사 안전론 오답노트 10 Q 안전보건관리조직의 유형 중 스태프형 조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생산부문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다. o 2. 권한다툼이나 조정 때문에 통제수속이 복잡해지며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o 3. 생산부분에 협력하여 안전명령을 전달, 실시하므로 안전지시가 용이하지 않으며 안전과 생산을 별개로 취급하기 쉽다. o 4. 명령 계통과 조언 권고적 참여가 혼동되기 쉽다.x Q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 안전보건 교육 기준 중 관리 감독자 정기안전보건교육의 교육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2.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 1,2번은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내용 3.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 근로자의 정기교육 내용 4. 산업보건 및 .. 2022. 1. 13. 산업안전기사 안전론 오답노트 9 Q 하인리히 방식의 재해코스트 산정에서 직접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휴업보상비 2. 병상위문금 3. 장해특별보상비 4. 상병보상연금 -> 직접비 : 휴업보상비, 장해특별보상비, 상병보상연금 간접비 : 병상위문금 Q 1년간 80건의 재해가 발생한 a 사업장은 1000명의 근로자가 1주일당 48시간, 1년간 52주를 근무하고 있다. a사업장의 도수율은? -> 도수율 = 재해건수/연근로시간수 * 1000000 Q 서로 손을 얹고 팀의 행동구호를 외치는 무재해 운동 추진기법의 하나로, 스킨십에 바탕을 두고 팀 전원의 일체감, 연대감을 느끼게 하며, 대뇌피질의 안전태도 형성에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는 기법은? -> 터치앤콜 Q 하인리히 안전론에서()안에 들어갈 단어로 적합한 것은? - 안전은 사고예방이다. .. 2022. 1. 12. 산업안전기사 안전론 오답노트 8 Q 다음 중 산업안전심리의 5대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습관 2. 동기 3. 감정 4. 지능 -> 5대 요소 습관, 동기, 감정, 기질 Q 다음 중 허즈버그의 일을 통한 동기부여 원칙으로 잘못된 것은? 1. 새롭고 어려운 업무의 부여 o 2. 교육을 통한 간접적 정보제공 x -> 성취감, 인정, 책임, 직무를 통한 자기 개발과 발전 등과 같은 일을 통한 동기부여 원칙과는 관련이 없다 3. 자기과업을 위한 작업자의 책임감 증대 o 4. 작업자에게 불필요한 통제를 배제 o -> 허즈버그의 일을 통한 동기부여 원칙 1. 직무에 따라 자유와 권한의 부여 : 작업자에게 불필요한 통제를 배제 2. 개인적 책임이나 책무를 증가시킴 : 자기과업을 위한 작업자의 책임감을 증대 3. 더욱 새롭고 어려운 업무수행.. 2022. 1. 12.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