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8

산업안전기사 기계위험방지기술 오답노트2 Q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 등 금형을 부착 해체 또는 조정하는 작업을 할 때, 슬라이드가 갑자기 작동함으로써 근로자에게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것은? -> 안전 블록 Q 운반기계 및 양중시 -> 정격하중은 크레인의 권상하중에서 훅, 그래브 또는 버킷 등 달기기구의 중량에 상당하는 하중을 뺀 하중을 말한다. 권상하중이란 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의 하중을 말한다. Q 기계 구조부분의 안전화 1. 재료의 결함 방지 2. 설계 시의 결함 방지 3. 가공의 결함 방지 Q 컨베이어, 이송용 롤러 등을 사용하는 경우 정전, 전압강하 등에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안전장치는? -> 화물의 이탈 및 역주행 방지장치 Q 회전하는 동작부분과 고정부분이 함께 만드는 위험점으로 .. 2022. 1. 27.
산업안전기사 기계위험방지 기술 오답노트 1 Q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일러에 설치해야하는 안전장치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해지장치 2. 압려방출장치 3. 압력제한스위치 4. 고 저수위조절장치 Q 프레스 작동 후 작업점까지의 도달시간이 0.3초인 경우 위험한계로부터 양수조작식 방호장치의 최단 설치거리는? -> 양수조작식 조작부의 안전거리 D = 1600 x 프레스 작동 후 작업점까지의 도달시간 = 1600 x 0.3 = 480mm Q 사업주는 고속회전체의 회전체 ( 회전축의 중량이 1톤을 초과하고 원주속도가 초당 120미터 이상인 것에 한함)의 회전시험을 하는 경우에 미리 회전축의 재질 및 형상 등에 상응하는 종류의 비파괴검사를 실시하여 결함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Q 프레스의 손쳐내기식 방호장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방호판의 폭이 .. 2022. 1. 26.
산업안전기사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오답노트 21 Q 억제게이트 : and 게이트의 일종이며, 한 개의 입력사상에 의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출력 사상이 발생되는 게이트 Q 설비관리 책임자 a는 동종 업종의 tpm 추진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설비관리 효율화를 꾀하고자 한다. 설비관리 효율화중 작업자 본인이 직접 운전하는 설비의 마모율 저하를 위하여 설비의 윤활관리를 일상에서 직접 행하는 활동과 가장 관계가 깊은 tpm 추진 단계는? -> 자주보전활동 Q 다음 중 일반적으로 인간의 눈이 완전암조응에 걸리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 30~40분 암순응 약 30~40분 정도 걸리는 간상세포의 순응단계로 이어진다. 명조응 : 수초내지 1~2분 Q 고장 평정법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범위 고장 발생의 빈도도고장 방지의 가능성 신규 설계.. 2022. 1. 24.
산업안전기사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오답노트 19 Q 결함분석의 기대효과 1. 사고원인 규명의 간편화 2. 사고원인 분석의 일반화 3. 사고원인 분석의 정량화 4. 노력, 시간의 절감 5. 시스템의 결함 진단 6. 안전점검 체크리스트 작성 Q 실효온도(감각온도, 실감온도) 1. 온도, 습도, 기류 등의 조건에 따라 인간의 감각을 통해 느껴지는 온도로 상대습도 100%일 떄의 건구온도에서 느끼는 것과 동일한 온도감이다. 2. 체온계로 입안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 실제로 감각되는 온도로서 실감온도라고 한다. 온도, 습도 및 공기 유동이 인체에 미치는 열효과를 나타낸것이다. 상대습도 100%일 때의 건구온도에서 느끼는 것과 동일한 온도감이다. Q 인간공학을 나타내는 용어로는 human factors, ergonomics, hu.. 2022. 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