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일러에 설치해야하는 안전장치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해지장치 2. 압려방출장치 3. 압력제한스위치 4. 고 저수위조절장치
Q 프레스 작동 후 작업점까지의 도달시간이 0.3초인 경우 위험한계로부터 양수조작식 방호장치의 최단 설치거리는?
-> 양수조작식 조작부의 안전거리
D = 1600 x 프레스 작동 후 작업점까지의 도달시간
= 1600 x 0.3 = 480mm
Q 사업주는 고속회전체의 회전체 ( 회전축의 중량이 1톤을 초과하고 원주속도가 초당 120미터 이상인 것에 한함)의 회전시험을 하는 경우에 미리 회전축의 재질 및 형상 등에 상응하는 종류의 비파괴검사를 실시하여 결함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Q 프레스의 손쳐내기식 방호장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방호판의 폭이 금형 폭의 1/2이상이어야 한다.
2. 슬라이드 행정수가 300[spm] 이상의 것에 사용한다.
3. 손쳐내기봉의 행정 길이를 금형의 높이에 따라 조정할 수 있고 진동폭은 금형폭 이상이어야 한다.
4. 슬라이드 하행정거리의 3/4 위치에서 손을 완전히 밀어내야 한다.
-> 손쳐내기식 방호장치는 슬라이드 행정수가 100 spm 이하이고, 슬라이드의 행정이 40mm 이상의 것에 사용한다.
Q 산업안전보건법형상 컨베이어에 설치하는 방호장치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건널다리 2. 반발예방장치 3. 비상정지장치 4. 역주행방지장치
-> 컨베이어 안전장치의 종류
비상정지장치
덮개 또는 울
건널다리리이탈 및 역주행방지 장치
Q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숫돌 지름이 60cm 인 경우 숫돌 고정 장치인 평형 플렌지의 지름은 최소 몇 cm 인가?
-> 플런지의 지름은 숫돌 직격의 1/3 이상인 것이 적당하다.
D = 60/3 = 20cm 이상
Q 기계설비의 위험점 중 연삭숫돌과 작업받침대, 교반기의 날개와 하우스 등 고정부분과 회전하는 동작 부분 사이에서 형성되는 위험점은?
-> 끼임점
고정 부분과 회전하는 동작부분이 함께 만드는 위험점이다.
예시 : 회전 풀리와 베드사이, 연삭숫돌과 작업대, 교반기의 날개와 하우스
Q 500rpm으로 회전하는 연삭숫돌의 지름이 300mm 일 때 회전속도는 ?
-> 원주속도 = (파이 * 300 * 500) / 1000 = 471
Q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미리 조정해 두어야할 이동식 크레인의 방호장치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제동장치
2. 권과방지장치
3. 과부하방지 장치
4.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 승강기의 방호장치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속도조절기, 출입문 인터록
Q 비파괴 검사
-> 방사선투과시험, 초음파탐상검사, 자분탐상검사, 침투탐상검사, 음향검사, 와류탐상시험
Q 연삭숫돌을 설치하거나 교체한 후에 전선과 압축공기 호스를 설치해야 한다.
Q 선반작업 시 유의사항
1. 치수 측정, 주유, 청소는 반드시 기계 정지 후 실시한다.
2. 바이트는 짧게 장치하고 일감의 길이가 직경의 12배 이상일 때 방진구를 사용한다.
3. 바이트에는 칩브레이커를 설치하고 보안경을 착용한다.
4. 가공물 장착 후에는 척 렌치를 바로 벗겨 놓는다.
Q 지게차 안전장치
헤드가드, 백레스트, 전조등, 후미등, 안전벨트
Q 절삭가공
절삭공구로 재료를 깎아 가공하는 방법을 말한다. 절삭가공에 이용되는 공작기계는 선반, 드릴링 머신, 밀링 머신, 보링머신, 세이빙 머신 등이 있다. 프레스는 금형을 이용하여 재료를 가공하는 기계이다.
Q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롤러기의 방호장치 설치시 유의해야할 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손으로 조작하는 급정지장치의 조작부는 롤러기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1개씩 수평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2. 앞면 롤러의 표면속도가 30 미만인 경우 급정지 거리는 앞면 롤러 원주의 1/2.5이하로 한다.
3. 급정지장치의 조작부에 사용하는 줄은 사용 중 늘어져서는 안 된다.
4. 급정지장치의 조작부에 사용하는 줄은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져야한다.
-> 롤러기 급정지장치의 성ㅇ능
30미만 앞면 롤러 원주의 1/3 이내
30이상 앞면 롤러 원주의 1/2.5 이내
Q 보일러 부하의 급변, 수위의 과상승 등에 의해 수분이 증기와 분리되지 않아 보일러 수면이 심하게 솟아올라 올바른 수위를 판단하지 못하는 현상은?
-> 프라이밍
포밍 : 보일러수에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었을 경우 보일러수의 비등과 함께 수면부 위에 거품층을 형성하여 수위가 불안정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Q 자동화 설비를 사용하고자 할 때 기능의 안전화를 위하여 검토할 사항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재료 및 가공 결함에 의한 오작동
2. 사용압력 변동 시의 오작동
3. 전압강하 및 정전에 따른 오작동
4. 단락 또는 스위치 고장 시의 오작동
-> 재료 및 가공 결함에 의한 오작동 = 구조적 안전화를 위함 검토사항
기능상의 안전화
최근 기계는 반자동 또는 자동 제어장치를 갖추고 있어서 에너지 변동에 따른 오작동이 주요 문제로 대두되므로 이에 따른 기능의 안전화가 요구 되고 있다.
Q 용접 용단 또는 가열에 사용되는 가스등의 용기 취급 시 중의 사항
1. 용해아세틸렌의 용기는 세워 둘 것
2. 용기의 온도를 섭씨 40도 이하로 유지할 것
3. 전도의 위험이 없도록 할 것
4.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할 것
5. 운반하는 경우는 캡을 씌울 것
Q 크레인 로프에 질량이 2000kg의 물건을 10의 가속도로 감아올릴 때, 로프에 걸리는 총 하중은?
동하중 = 정하중 / 중력가속도. * 가속도
-> 총하중 = 정하중 + 동하중 = 2000 + 2040 = 4040
총 하중 = 4040 * 중력가족도 = 39.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