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업안전기사 안전론 오답노트 19

by 저너 2022. 1. 18.
반응형

Q 휴먼에러 원인의 레벨을 분류할 때 작업조건이나 작업형태 중에서 다른 문제가 생겨서 그것 떄문에 필요한 사항을 실행할 수 없는 에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second error

Q 동기부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레윈의 법칙에서 'P'가 의미하는 것은?
-> 개체 : 연령, 경험, 심신상태, 성격, 지능
E : 심리적 환경:인간관계, 작업환경

Q 다음 중 학습 목적을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결정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주제
2. 학습 목표
3. 학습 정도
4. 학습 성과

Q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 또는 보건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조치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는 것은?
->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

Q 다음 중 교육 실시 원칙상 한 번에 하나하나씩 나누어 확실하게 이해시켜야 하는 단계는?
-> 제시 : 상대의 능력에 따라 교육하고 한 번에 하나씩 내용을 확실하게 이해시키고 납득시켜 다시 기능으로 습득시킨다.

Q 다음 중 안전점검보고서에 수록될 주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작업현장의 현 배치상태와 문제점
2. 안전교육 실시현황 및 추진방향
3. 안전관리 스태프의 인적사항
4. 안전방침과 중점개선계획

Q Y이론의 관리 처방
1. 민주적 리더십의 확립
2. 분권화의 권한과 위임
3. 목표에 의한 관리
4. 직무확장
5. 비공식적 조직의 활용
6. 자체 평가제도의 활성화

Q 다음 중 사업장 무재해 운동 추진에 있어 무재해 시간과 무재해 일수의 산정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재해 시간은 실근무자와 실근로시간을 곱하여 산정한다.
2. 실근로시간의 관리가 어려운 경우 건설업 이외 업종은 1일 8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본다.
3. 실근로시간의 관리가 어려운 경우에 건설업은 1일 9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본다.
4. 건설업 이외의 300인 미만 사업장은 실근무자와 실근로시간을 곱하여 산정한 무재해 시간 또는 무재해 일수를 택일하여 목표로 사용할 수 있다.
-> 무재해 일수를 산정할 때 실근로시간의 관리가 어려운 경우에 건설업은 1일 10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본다.

Q 신체장해등급 제14급은 손실일수 50일로 환산한다.
영구 일부노동 불능은 신체장해등급에 따른 손실일수에 300/365를 곱하지 않는다.

Q 방음용 귀마개는 귀 외이도에 잘 맞도록 설계하여야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