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재해의 발생확률은 개인적 특성이 아니라 그 사람이 종사하는 작업의 위험성에 기초한다는 이론은?
1. 암시설 2. 경향설 3. 미숙설 4. 기회설
-> 기회설 :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작업 자체에 문제가 있어 재해가 반발
암시설 : 재해를 한 번 경험한 사람은 심리적 압박을 받게 되어 대처능력이 떨어져 재해가 반발
반발경향자설 : 재해를 자주 일으키는 소질을 가진 근로자가 있다는 설
Q 재해원인 분석방법의 통계적 원인분석 중 사고의 유형, 기인물 등 분류항목을 큰 순소대로 도표화한 것은?
기인물 : 재해를 초래하는 근원이 되었던 기계, 장치, 그 밖의 물건과 환경
파레토도
-> 특성요인도 : 특성과 요인관계를 도표로 하여 어골상으로 세분화한 분석법
크리스도 : 2개 항목 이상의 요인이 상호관계를 유지할 때 문제를 분석하는데 사용함
관리도 : 월별 재해발생수를 그래프화하여 관리선을 설정, 관리하는 방법
Q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색채와 사용 사례의 연결로 틀린 것은?
1. 노란색 - 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 위험 경고 이외의 위험경고 o
2. 파란색 - 특정 행위의 지시 및 사실의 고지 o
3. 빨간색 - 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 위험 경고 o
4. 녹색 - 정지신호, 소화설비 및 그 장소, 유해행위의 금지 x
-> 녹색 - 비상구 및 피난소,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표지
Q 무재해 운동을 추진하기 위한 조직의 세 기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최고경영자의 경영자세 O
2. 소집단 자주활동의 활성화 O
3. 전 종업원의 안전요원화 x
4. 라인관리자에 의한 안전보건의 추진 O
Q 강도율 7인 사업장에서 한 작업자가 평생동안 작업을 한다면 산업재해로 인한 근로손실일수는 며칠로 예상되는가?
-> 환산강도율 = 강도율 * 100 = 700일
Q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학습지도의 원리는?
학습자가 지니고 있는 각자의 요구와 능력 등에 알맞은 학습 활동의 기회를 마련해주어야 한다는 원리
-> 개별화의 원리
통합의 원리 : 학습을 종합적으로 지도하는 것으로 학습자의 능력을 조화있게 발달시키는 원리
사회화의 원리 : 공동학습을 통해 협력과 사회화를 도와준다는 원리
자발성의 원리 : 학습자 스스로 학습에 참여해야 한다는 원리
직관의 원리 : 구체적인 사물을 제시하거나 경험 등을 통해 학습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원리
Q Y-K 성격검사에 관한 사항으로 옳은 것은?
-> C 형은 적응이 빠르다.
Q 안전인증 절연장갑에 안전인증 표시 외에 추가로 표시하여야 하는 등급별 색상의 연결로 옳은 것은?
00등급 : 갈색
0등급 : 빨간색
1등급 : 흰색
2등급 : 노란색
3등급 : 녹색
4등급 : 등색
Q 안전교육의 단계에 있어 교육대상자가 스스로 행함으로써 습득하게 하는 교육은?
-> 기능교육
태도교육은 안전의 습관화(가치관 형성)
Q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 내 안전보건교육 중 관리감독자 정기교육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유해 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2.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한 사항
3. 작업공정의 유해, 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4. 기계, 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x
Q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 위험 방지를 위한 방호조치가 필요한 기계, 기구가 아닌 것은?
-> 금속탐지기
예초기, 원심기, 공기압축기, 금속절단기, 지게차, 포장기계
Q 안전교육방법 중 구안법의 4단계의 순서로 옳은 것은?
-> 목적의 단계 -> 계획의 단계 -> 실행의 단계 -> 비판의 단계
카테고리 없음
산업안전기사 안전론 오답노트 6
반응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