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업안전기사 안전론 오답노트 1

by 저너 2022. 1. 10.
반응형

Q 재해로 인한 직접비용으로 8000만원의 산재 보상비가 지급되었을때 하인리히 방식에 따른 총 손실비용은?
-> 하인리히 법의 총재해코스트 = 직접비 + 간접비 1:4비율이다.
직접비는 법령으로 지급되는 산재보상비로 요양급여, 휴업급여, 장해급여, 간병급여, 유족급여, 상병보상연금, 장의비, 직업재활급여

간접비는 재산손실, 생산중단 등으로 기업이 입은 손실로 인적손실, 물적손실, 생산손실, 특수손실, 기타손실이 있다.

산재보상비는 직접비로 8000만원이고 간접비는 4배의 3억2천만원으로 총 손실비용은 4억원입니다.

Q 교육훈련기법 중 off j t(off job training0의 장점이 아닌것은?
1. 업무의 계속성이 유지된다.
2. 외부의 전문가를 강사로 활용할 수 있다.
3. 특별교재, 시설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다수의 대상자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 off j t(직장 외 교육 훈련_ 계층별 지능별로 공통된 교육대상자를 현장 이외의 한 장소에 모라 집합교육을 실시하는 교육형태이다.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훈련에만 전념한다.
각각 전문가를 강사로 초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직장 외 교육 훈련으로 업무의 계속성이 유지 될 수 없다 3번이 정답

Q 보호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산소결핍지역에서는 필히 방독마스크를 착용하여야한다.
2. 차광용 보안경의 사용구분에 따른 종류에는 자외선용, 적외선용, 복합용, 용접용이 있다.
3. 선반작업과 같이 손에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는 장갑 착용을 의무화한다.
4. 귀마개는 처음에는 저음만을 차단하는 제품부터 사용하며 일정기간이 지난 후 고음까지 모두 차단할 수 있는 제품을 사용한다.

->1. 방독마스크의 경우 산소가 18% 이상인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산소 결핍 지역에서는 송기마스크를 착용해야한다.
2. 차광용 보안경의 사용 구분에 따른 자외선용, 적외선용, 복합용, 용접용이 있다. o
3. 선반작업에서 면장갑은 착용 금지된다.
4. 고음 먼저 차단되는 것이 우선시 된다.

Q thorndike의 시행착오설에 의한 학습의 원칙이 아닌 것은?
1. 연습의 원칙
2. 효과의 원칙
3. 동일성의 원칙
4. 준비성의 원칙

-> 동일성의 원칙은 thorndike의 시행착오설에 의한 학습의 원칙이 아니다.

Q  산업안전보건법렵 상 사업 내 안전보건교육의 교육시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용근로자의 작업내용 변경 시의 교육은 2시간 이상이다. x
-> 일용근로자의 경우 작업 내용 변경 시의 교육은 1시간 이상이며 일용근로자를 제외하면 2시간 이상이다.
2. 사무직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정기교육은 매분기 3시간 이상이다. o
3.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의 채용 시 교육은 4시간 이상이다.x
-> 일용근로자 채용시 1시간 이상이며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는 8시간 이상이다.
4.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의 정기교육은 연간 8시간이상이다. X
->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의 정기 교육은 연간 16시간 이상이다.

Q 집단에서의 인간관계 매커니즘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분열, 강박 2. 모방, 암시 3. 동일화, 일체화 4. 커뮤니케이션, 공감

-> 인간관계 매커니즘 1. 동일화 2. 투사 3. 커뮤니케이션 4. 모방 5. 암시

Q 재해의 빈도와 상해의 강약도를 혼합하여 집계하는 지표로 옳은 것은?

-> 종합재해지수

Q 일반적으로 시간의 변화에 따라 야간에 상승하는 생체리듬은?
1. 혈압 2. 맥박수 3. 체중 4. 혈액의 수분
-> 야간에 체중 감소, 야간에는 말초운동 기능 저하, 피로의 자각 증상이 증대, 혈액의 수분, 염분량은 주간에 감소하고 야간에 증가, 체온, 혈압, 맥박은 주간에 상승 야간에 감소

Q 무재해 운동의 3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무의 원칙 2. 참가의 원칙 3. 선취의 원칙 4. 대책선정의 원칙
-> 무재해란 사업장에서 근로자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4일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 또는 질병에 이환되지 않는 것
무의 원칙 : 모든 잠재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견, 파악, 해결함으로써 근원적으로 산업재해를 없앤다.
참여의 원칙 : 작업에 따르는 잠재적인 위험요인을 발견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이 협력하여 문제해결 운동을 실천한다.
안전제일의 원칙(선취의 원칙): 직장의 위험요인을 행동하기 전에 발견 파악, 해결하여 재해를 예방한다.

Q 안전보건관리조직의 형태 중 라인 스태프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직원 전원을 자율적으로 안전 활동에 참여시킬 수 있다 O
2. 라인의 관리감독자에게도 안전에 관한 책임과 권한이 부여된다. o
3. 중교모 사업장 (100명 이상 ~ 500명 미만)에 적합하다 x
->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 적합한 조직이다.
4. 안전 활동과 생산업무가 유리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이상적인 조직형태이다.

Q 안전 교육 중 같은 것을 반복하여 개인의 시행착오에 의해서만 점차 그 사람에게만 형성되는 것은?
1. 안전기술의 교육 2. 안전지식의 교육 3. 안전기능의 교육 4. 안전태도의 교육

-> 안전교육의 3단계 지식교육 (1단계) : 지식의 전달과 이해 기능교육(2단계) : 실습, 시범을 통한 이해, 태도교육(3단계) : 안전의 습관화

Q 상황성 누발자의 재해 유발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이 어렵기 때문이다.
2. 심신에 금심이 있기 때문이다.
3. 기계설비의 결함이 있기 때문이다.
4. 도덕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 상황성 누발자란 환경의 원인이 되어 심신의 근심으로 사고 경향자가 되는 사람을 의미한다. 도덕성의 결여는 상황성 누발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