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업안전기사 전기위험방지기술 오답노트 12

by 저너 2022. 2. 10.
반응형

Q 가수전류 : 인체가 자력으로 이탈 가능한 전류 = 마비한계전류

 

Q 심장의 맥동주기 중 어느 때에 전격이 인가되면 심실세동을 일으킬 확률이 크고 위험한가?

-> 심실이 수축을 종료하는 T파 부분에 전격이 인가되면 심실세동을 일으킬 확률이 가장 크고 위험하다.

 

Q 전기기계, 기구의 조작 시 안전조치로서 사업주는 근로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전기 기계, 기구로 부터 폭 얼마 이상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가?

- 70cm

 

Q 교류아크용접기의 전격방지장치에서 시동감도를 바르게 정의 한 것은?

-> 용접봉을 모재에 접촉시켜 아크를 시동시킬 때 전격방지장치가 동작할 수 있는 용접기 2차 측의 최대 저항이다.

 

Q 감전 시 인체에 흐르는 전류는 인가전압에 비례하고 인체저항에 반비례한다. 인체는 전류의 열작용(전류의세기*시간)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피해가 발생한다.

 

Q 가스폭발 위험장소의 구분 : 0종, 1종, 2종장소 

분진폭발 위험장소의 구분 : 20종, 21종, 22종 장소 

Q 분진폭발 방지대책

1. 작업장 등은 분진이 퇴적하지 않는 형상으로 한다.

2. 분진 취급장치에는 유효한 집진장치를 설치한다.

3. 분체 프로세스장치는 밀폐화하고 누설이 없도록 한다.

 

Q 정전작업 시 작업 전 안전조치사항

1. 단락접지 2. 잔류전하 방전 3. 검전기에 의한 정전확인

 

Q 전선의 절연피복이 손상되어 동선이 서로 직접 접촉한 경우는? 

- 단락

 

Q 감전사고 후 응급조치 개시시간에 따른 소생률

1. 1분 : 95%

2. 3분 : 75%

3. 4분 : 50%

4. 5분 경과시 25%로 크게 감소

 

Q 정전기 폭발사고 조사 시 필요한 조치

1. 가연성 분위기 규명

2. 전하발생 부위 및 축적기구 규명

3. 방전에 따른 점화 가능성 평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