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업안전기사 전기위험방지기술 오답노트 6

by 저너 2022. 2. 10.
반응형

Q 접지계통 분류에서 TN접지 방식

Tn-c, tn-s, tn-c-s

 

Q equipment protection level은 epl로 표면되며 점화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에 기초하며 기기에 부여된 보호등급이다. Epl의 등급 중 epl gc는 정상 작동, 예상된 오작동, 드문 오작동 중에 점화원이 될 수 없는 " 매우 높은 " 보호등급의 기기이다.

 

Q 누전차단기의 구성요소

영상변류기, 누전검출부, 트립코일, 차단장치 및 시험 버튼

 

Q 우리나라의 안전전압 

-> 30v

 

Q 누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지하는 대상

1. 전기기계 기구의 금속제 외함

2. 고압 이상의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기계, 기구, 주변의 금속제 칸막이

3. 코드와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 기구 중 휴대형 전동기계, 기구의 노출된 비충전 금속제

-> 고정배선에 접속된 전기기계 기구 중 사용전압이 대지전압 150v를 넘는 비충전 금속체 접지 대상

 

Q 안전증 방폭구조(ex e)

정상상태에서 점화원으로 되는 전기불꽃의 발생부 및 고온부가 존재하지 않는 전기설비에 대하여 특히 안전도를 증가시켜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0에 가깝게 하는 방법

유입방폭구조(o)

전기기기의 불꽃, 아크 등이 발생하는 부분을 기름 속에 넣어 기름면 위에 존재하는 폭발성 가스 또는 증기에 인화될 우려가 없도록 한 구조이다.

압력방폭구조(p)

용기 내부에 보호기체를 압입하여 내부압력을 유지함으로써 폭발성가스 또는 증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내압방폭구조(d)

전폐구조로 용기 내부에서 폭발성 가스 및 증기가 폭발하였을 때 용기가 압력에 견디는 구조이다.

 

Q 자동전격방지장치 

용접봉의 조작에 따라 용접하는 경우에만 용접기의 주회로를 형성하고, 그 외에는 용접기의 출력 측의 무부하 전압을 25v이하로 저하시키도록 동작하는 장치이다.

Q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물체의 특성

2. 물체의 표면상태

3. 물질의 이력

4. 접촉면적 및 압력, 분리속도

 

Q 유입방폭구조(o) 방폭장비의 최소 IP등급은?

-> IP66

 

Q 발열

H = 0.24I^2RT

 

Q 정전기가 대전되어 있는 부도체에 접지체가 접근한 경우 대전물체와 접지체 사이에 발생하는 방전과 거의 동시에 부도체의 표면을 따라서 발생하는 나뭇가지 형태의 발광을 수반하는 방전

-> 연면방전

 

Q 피회헤벨에 따른 회전구체 반경

1. 피뢰레벨 1 : 20m 2. 피뢰레벨2:30m 3. 피뢰레벨3 : 45m 4. 피뢰레벨4 : 60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