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방폭구조의 종류 유입방폭구조(o), 안전증방폭구조(e), 내압방폭구조(d), 본질안전방폭구조(i), 압력방폭구조(p)
Q 아크를 발생시키는 기구와 목재의 벽 또는 천장과의 이격거리
개폐기, 차단기, 피뢰기, 기타 유사한 기구
이격거리 고압용의 것은 1m이상 특고압용의 것은 2m이상
Q 절연저항의 최소값은 누설전류가 최대가 될 떄이고 저압전선로는 사용전압에 대한 누설전류가 최대 공급전류가 1/2000이 넘지 않도록 유지해야한다.
Q 전격현상의 메커니즘
1. 심실세동에 의한 혈액순환기능 상실
2. 호흡중추신경 마비에 따른 호흡중지
3. 흉부수축에 의한 질식
Q 가스그룹에 따른 내압방폭 평면 접합면 장애물과의 최소 거리
ㅐA : 10mm
ㅐB : 30mm
ㅐC : 40mm
Q 두 도전부 사이의 고체절연물 표면을 따른 최단거리
-> 연면거리
Q 접지의 종류와 목적
계통 접지 : 고압전로와 저압전로 혼촉 시 감전이나 화재방지
기기 접지 : 누전되고 있는 기기에 접촉되었을 때의 감전방지
정전기방지용 접지 : 정전기의 축적에 의한 폭발재해방지
등전위 접지 : 병원에서 의료기기 사용 시의 안전
Q 피괴시스템의 등급에 따른 회전구체의 반지름
1등급 : 20m 2등급 : 30m 3등급 : 45m 4등급 : 60m
Q 전위차가 있는 2개의 대전체가 특정거리에 접근하게 되면 등전위가 되기 위하여 전하가 절연공간을 깨고 순간적으로 빛과 열을 발생하며 이동하는 현상
-> 방전
정전기 방전의 형태 : 코로나 방전, 스트리머 방전, 불꽃방전, 연면방전
Q 정전기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하는 제전기의 제전효율은?
90% 이상
Q 절연불량의 주요원인
1. 높은 이상전압 등에 의한 전기적 요인
2. 진동, 충격 등에 의한 기계적 요인
3. 산화 등에 의한 화학적 요인
4. 산화 등에 의한 화학적 요인
Q 고장 전류 : 고장발생 시 흐르는 전류
차단기 : 고장전류와 같은 대전류를 차단하는 장치이다.
Q 순시트립에 따른 구분
B : 3I초과 5이하
C : 5초과 10이하
D: 10초과 20이하
순시트립
선로에 고장이 발생하면 차단기에서 바로 차단 작동을 일으키는 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