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이 아닌 것은?
1. 절연전선의 열화 2. 정전기 발생 3. 과전류 발생 4. 절연저항값의 증가
-> 전기화재의 주요원인인 절연 불량의 경우 절연저항값이 감소할 때 일어난다.
절연저항 : 절연체에 전압을 가했을 때 절연체가 나타나는 전기저항
Q 배전선로에 정전작업 중 단락접지기구를 사용하는 목적?
1. 전로가 정전된 경우에도 오통전, 다른 전로와의 접촉 또는 다른 전로에서의 유도작용 및 비상용 발전기의 가동 등으로 정전전로가 갑자기 충전되는 경우가 있다.
2. 이에 따른 감전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개소에 근접한 지점에 충분한 용량을 갖는 단락접지기구를 사용하여 정전전로를 단락접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Q 수뢰부시스템
돌침, 수평도체, 메시도체의 요소 중에 한 가지 또는 이를 조합한 형식으로 시설하여야 한다.
Q 정전기 재해의 방지를 위하여 배관 내 액체의 유속 제한이 필요하다. 배관의 내경과 유속제한 값
관내경 25mm 제한유속 4.9
관내경 50mm 제한유속 3.5
관내경 100mm 제한유속 2.5
관내경 200mm 제한유속 1.8
관내경 400mm 제한유속 1.3
관내경 600mm 제한유속 1
Q 허용접촉전압
제1종 : 2.5V이하, 제2종 : 25V이하, 제3종 : 50V이하, 제4종 : 제한없음
Q 계통접지의 종류 TN, TT, IT
Q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물체의 특성
2. 물체의 표면상태
3. 물질의 이력
4. 접촉면적 및 압력, 분리속도
Q 정전기 재해의 방지대책
1. 접지의 접속은 납땜, 용접 또는 멈춤나사로 실시
2. 회전부품의 유막저항이 높으면 도전성의 윤활제를 사용
3. 이동식의 용기는 도전성 바퀴를 달아 폭발 위험을 제거
4. 폭발의 위험이 있는 구역은 도전성 고무류로 바닥 처리
Q W=1/2CV^2 = 1/2QV = 1/2Q^2/C
C: 도체의 정전용량 Q: 대전전하량 V: 대전전위
Q 누전차단기 적용 비대상
1.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의한 이중절연구조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으로 보호되는 전기기계, 기구
2. 절연대 위 등과 같이 감전 위험이 없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 기구
3. 비접지방식의 전로
Q 고압전류 제한퓨지의 불용단전류 조건
1. 일반용, 변압기용, 전동기용 : 정격전류의 1.3배 전류로 2시간 이내에 용단되지 않을 것
2. 콘덴서용 : 정격전류의 2배 전류로 2시간 이내에 용단되지 않을 것
부하 : 전기에너지를 받아 어떤 일을 하는 것
Q 누전차단기의 시설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설장소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 내에 설치한다.
2. 정격전류용량은 해당 전로의 부하전류값 이상이어야한다.
3. 정격감도전류는 정상의 사용상태에서 불필요하게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4. 인체감전보호형은 0.03초이내이다.
-> 정격감도전류 30mA
Q 정전기 방지 대책
1. 카본 블랙을 도포하여 도전성을 부여한다.
2. 유속을 저감시킨다.
3. 도전성 재료를 도포하여 대전을 감소기킨다.
-> 일반적으로 대전량은 접촉이나 분리하는 두가지 물체가 대저서열 내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 적고 먼 위치에 있으면 대전량이 큰 경향이 있으므로 대전서열이 가급적 가까운 것으로 구성한다.
Q 방폭전기기의 구조별 표시방법
1. 내압방폭구조 : d
2. 본질안전방폭구조 : ia, ib
3. 유입방폭구조 : o
4. 안전증방폭구조 : e
Q 절연장갑의 등급 및 색상
00등급 교류 500 직류 750
0등급 교류 1000 직류 1500
1등급 교류 7500 직류 11250
2등급 교류 17000 직류 25500
3등급 교류 26500 직류 39750
Q 전로의 사용전압이 600v일 때 절연저항은 1M옴 이상이어야 한다.
Selv 및 pelv dc전압 250 절연저항 0.5
Felv 500이하 dc 전압 500 절연저항 1이상
500초과 dc전압 1000 절연저항 1이상
Q 0종 장소에 사용될 수 있는 방폭구조 : Ex ia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