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업안전기사 전기위험방지기술 오답노트1

by 저너 2022. 2. 9.
반응형

Q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욕실 등 인체가 물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에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가 부착된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 누전차단기의 정격담도전류 및 동작 시간은?

- 정격감도전류 15mA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 절연변압기 정격용량 3kV 이하인 것으로 한다.

 

Q 불활성할 수 없는 탱크, 탱크롤리 등에 위험물을 주입하는 배관은 정전기 재해방지를 위하여 배관 내 액체의 유속제한을 한다. 배관 내 유속 제한에 대한 설명

1. 저항률이 10^10미만인 도전성 위험물의 배관유속은 7m/s이하

2. 에테르, 이황화탄소 등과 같이 유동대전이 심하고 폭발 위험성이 높은 것은 배관 내 유속을 1m/s이하

3. 물이나 기체를 포함한 비수용성 위험물은 1m/s이하

4. 저항률이 10^10 이상인 위험물의 배관 내 유속은 관내경이 0.05m이면 3.5m/s 이하로 할 것

 

Q 절연물의 절연계급 최고 허용 온도

Y:90도, A: 105도,  E:120도,  B: 130도,  F:155도,  H: 180도,  C:180도 초과

 

Q 두 종류의 다른 물체를 접촉시키면 그 접촉면에는 두 물체의 일함수의 차로서 접촉전위가 발생된다.

 

Q 방호장치 안전인증고시

U : 방폭부품을 나타내는 기호

X : 안전한 사용을 위한 특별한 조건을 나타내는 기호

 

Q 피뢰기ㅣ의 시설 장소 

고압 및 특고압 전로 중 다음에 열거하는 곳 또는 이에 근접한 곳에는 피뢰기를 시설하여야 한다.

1. 발전소,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장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

2. 특고압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 측 및 특고압 측

3. 고압 및 특고압의 가공전선로로부터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4. 가공전선로와 지중선로가 접속되는 곳

 

Q 근로자 및 전기기기와 접촉할 우려가 있는 근로자에게 감전의 위험이 없도록 준수하여야 하는 사항

1. 작업기구, 단락 접지기구 등을 제거하고 전기기기 등이 안전하게 통전될 수 있는지를 확인할 것

2. 모든 작업자가 작업이 완료된 전기기기 등에서 떨어져 있는지를 확인할 것

3. 잠금장치와 꼬리표는 설치한 근로자가 직접 철거할 것

4. 모든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전기기기 등의 전원을 투입할 것

 

Q 유입방폭구조의 밀봉되지 않은 기기의 통기장치의 배출구 및 밀봉된 기기의 압력방출장치의 배출구는 아래를 향해야하며 ks c iec 60529에 따른 ip66 이상의 보호등급을 가져야한다.

 

Q 가스그룹에 따른 내압방폭 평면 접합면 장애물과의 최소 거리

A: 10mm B:30mm C:40mm

 

Q 방폭전기설비의 용기내부에서 폭발성가스 또는 증기가 폭발하였을 때 용기가 그 압력에 견디고 접합면이나 개구부를 통해서 외부의 폭발성가스나 증기에 인화되지 않도록 한 방폭구조는?

- 내압방폭구조

Q 피뢰기의 정격전압

1.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최고의 교류전압이다.

2. 통상 실효값으로 나타낸다.

 

Q 접지공사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

1. 이중절연구조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으로 보호되는 전기기계, 기구

2. 절연대 위 등과 같이 감전위험이 없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 기구

3. 비접지방식의 전로

4. 30v 이하의 기계기구를 건조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

 

Q 심실세동을 일으킬 수 있는 에너지는 

W = i^2RT

 

Q 전기설비의 접지 목적

1.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방지

2. 낙뢰에 의한 피해방지

3. 지락사고 시 대지전위 상승억제 및 절연강도 감소

4. 지락사고 시 보호계전기 신속동작

 

Q 대전된 물체의 절연저항이 증가되어 제전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은?

-> 건조된 물체는 절연저항이 증가되어 제전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Q 특고압용 기계기구 충전부분의 지표상 높이

35kv 이하 5m

35초과 160 이하 6m

160초과 10마다 0.12m 더한 값

 

Q 개폐기로 인한 발화는 스파크에 의한 가연물의 착화화재가 많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은?

1. 가연성 증기, 분진 등이 있는 곳은 방폭형을 사용한다.

2. 개폐기를 불연성 상자안에 수납한다.

3. 접속부분의 나사풀림이 없도록 한다.

4. 통형 퓨즈를 사용한다.

 

Q 개폐기, 차단기, 전력용 커패시터, 유도전압조정기, 계기용변성기 기타의 기구의 전로 및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의 접속선 및 모선은 법에서 정하는 시험전압을 충전 부분과 대지 사이에 연속하여 10분간 가하여 절연내력을 시험하였을 때에 이레 견디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