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근섬유 특성으로 힘을 장시간 지속시키고,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피로에 대한 저항이 강하다.
Q 패스셋(path set) : 포함되어 있는 모든 기본사상이 일어나지 않을 때 처음으로 정상사상이 일어나지 않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다.
Q 신호검출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호와 소음을 쉽게 식별할 수 없는 상황에 적용된다.
2. 일반적인 상황에서 신호 검출을 간섭하는 소음이 있다.
3. 통제된 실험실에서 얻은 결과를 현장에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x
4. 긍정, 허위, 누락, 부정의 네 가지 결과로 나눌 수 있다.
Q 반사율이 85%, 글자의 밝기가 400인 VDT 화면에 350의 조명이 있다면 대비는 약 얼마인가?
대비 = 100*(Lb-Lt)/Lb
반사율 = 광도/조도 * 100
Lb = 0.85 *350/3.14 = 94.75
Lt = 400+94.75 = 494.75
Q 인간 - 기계시스템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인간 성능의 고려는 개발의 첫 단계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2. 기능 할당 시에 인간 기능에 대한 초기 주의가 필요하다.
3. 평가 초점은 인간 성능의 수용 가능한 수준이 되도록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다.
4. 인간 - 컴퓨터 인터페이스 설계는 인간보다 기계의 효율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한다.
Q 미니멀 컷셋은 정상사상을 일으키기 위한 최소한의 컷셋이다.
1. 미니멀 컷셋은 시스템의 위험성을 표시하는 것이다.
2. 미니멀 패스셋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표시하는 것이다.
3. 미니멀 패스셋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집합이다.
Q 생량사상(최후사상) : 정보부적, 해석기술 불충분으오 더 이상 전개할 수 없는 사상
Q 시각적 부호의 유형과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임의적 부호 - 주의를 나타내는 삼각형
2. 명시적 부호 - 위험표지판의 해골과 뼈 -> 묘사적 부호
3. 묘사적 부호 - 보도 표지판의 걷는 사람
4. 추상적 부호 - 별자리를 나타내는 12궁도
-> 묘사적 부호 : 사물이나 행동을 단순하고 정확하게 묘사한 것
추상적 부호 : 메시지의 기본요소를 도식적으로 압축한 부호로 원래의 개념과의 약간의 유사성이 있음
임의적 부호 : 부호가 이미 고안되어 있으므로, 이를 배워야 하는 것
Q fail safe의 기능분류
faill passive(자동감지) : 부품이 고장나면 통상 정지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fail active(자동제어) : 부품이 고장나면 기계는 경보를 울리며 짧은 시간 동안 운전이 가능하다.
fail operational(차단 및 조정) : 부품에 고장이 있더라도 추후 보수가 있을 때까지 안전한 기능을 유지한다.
Q FTA와 동일의 논리적 방법을 사용하여 관리, 설계, 생산, 보전 등에 대한 넓은 범위에 걸쳐 안전성을 확보하려는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 -> MORT
사고 시나리오에서 연속된 사건들의 발생경로를 파악하고 평가하기 위한 귀납적이고 정량적인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 -> ETA
카테고리 없음
산업안전기사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오답노트 14
반응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