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산업안전기사 기계위험방지기술 오답노트 4

저너 2022. 1. 27. 15:11
반응형

Q 가공기계에 쓰이는 주된 풀 프루프에서 가드의 형식으로 틀린 것은?

1. 인터록 가드

2. 안내 가드

3. 조정 가드

4. 고정가드

-> 풀 프로프 

정의 : 작업자가 기계를 잘못 취급하여 불안전 행동이나 실수를 하여도 기계설비의 안전기능이 작용되어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다.

가드의 종류 : 인터록 가드, 조정 가드, 고정 가드

 

Q 컨베이어의 제작 및 안전기준상 작업구역 및 통행구역에 덮개, 울 등을 설치해야 하는 부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컨베이어의 제동장치 부분

설치해야하는 부분

1. 컨베이어의 동력전달 부분

2. 컨베이어 벨트, 풀리, 롤러, 체인, 스프라켓, 스크류 등

3. 호퍼, 슈트의 개구부 및 장력 유지장치

4. 가동부분과 정지부분 또는 다른 물건 사이 틈 등 작업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부분. 다만 그 틈이 5mm 이내인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다.

5. 운반되는 재료 또는 컨베이어가 화상 등을 일으킬 수 있는 구간, 다만 이 경우 덮개나 울을 설치한다.

 

Q 탁상용 연삭기의 덮개에는 작업 받침대와 연삭숫돌과의 간격을 몇 mm이하로 조정할 수 있어야하나?

-> 3mm

 

Q 회전축, 커플링 등 회전하는 물체에 작업복 등이 말려드는 위험을 초래하는 위험점은?

-> 회전 말림점

 

Q 로켓에 설치되는 제어장치는 다음의 요건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되어야한다.

1. 누름버튼은 오작동 방지를 위한 가드를 설치하는 등 불시가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 설치되어야한다.

2. 전원공급램프, 자동운전, 결함검출 등 작동제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3. 조작버튼 및 선택스위치 등 제어장치에는 해당 기능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해야 한다.

 

Q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관한 규칙

1. 아세틸렌발생기로부터 5m 이내, 발생기실로부터 3m이내에는 흡연 및 화기사용을 금지한다.

2. 발생기실에는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이 출입하는 것을 금지한다.

3. 아세틸렌 용기는 세워서 사용한다.

4. 건식안전기의 형식으로 소결금속식과 우회로식이 있다.

 

Q 크레인에는 과부하방지장치, 권과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및 브레이크장치 등 방호장치를 부착한다.

 

Q 지게차 주행 시의 좌우 안정도

= (15+1.1v)

 

Q 선반의 안전장치 

칩 브레이크 

덮개 

브레이크 

 

Q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점검하는 작업은 크레인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이다.

 

Q 승강기의 종류

-> 승객용 엘리베이터, 승객화물용 엘리베이터, 화물용 엘리베이터, 소형화물용 엘리베이터, 에스켈레이터

Q 프레스 양수조작식 누름버튼 상호 간 내측거리는 300mm 이상이다.

 

Q 롤러기의 급정지 거리 = 앞면 롤러 원주 / 3

 

Q 지름 5cm 이상을 갖는 회전중인 연삭숫돌이 근로자들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 필요한 방호장치는?

-> 덮개

 

Q 프레스 금형에 사용하는 스프링은 압축형으로 한다.

 

 

반응형